목록전체 글 (421)
외로운 Nova의 작업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zsia/btr2uY6Xroy/WNvRfsSn6rzcwK5B9kr1wK/img.png)
- Volley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돕는 라이브러리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구글에서 제공하는 Volley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사용자로부터 퍼미션을 얻고, https의 도메인 정보를 적어줘야합니다. 매니페스트파일에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res/xml 폴더에 임의의 이름으로 XML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저는 network.xml로 만들었습니다. https://cdn.pixabay.com/ 그리고 위 정보를 매니페스트파일에 등록해줍니다. 맨 아래에 보이시죠? 만약 모든 도메인과 통신하게하려면 아래와 같이 적어줍니다. 맨 아래 보이시죠? Volley를 사용하려면 먼저 의존성 등록을 해줘야합니다. implementation 'com.android.volle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zsKjU/btr1XPKwyxG/5dZxdcgNv8odDoBS4ytMy0/img.png)
- 스마트폰 정보 앱들은 대부분 http 통신을 통해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통신을 하면서 앱을 운영합니다. 따라서 핸드폰이 네트워크가 가능한지 어떤 네트워크를 쓰고 있는지 확인하기위해선 스마트폰 정보를 구해야합니다. - 네트워크 정보 구하기 스마트폰의 네트워크를 알아볼때에는 ConnectivityManager를 사용하고 어떤 네트워크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onnectivityManager의 getActivityNetwork() 함수로 Network 객체를 얻어서 이용합니다. ConnectivityManager을 사용하려면 다음 퍼미션을 선언해야합니다. 그런다음 퍼미션을 요구하는 코드를 짜줍니다. //in oncreate code val status = ContextCompat.c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GXts/btr1Y9t77r0/DKoopv8wkTcw8WKmq7UQH1/img.png)
- 메일 서버 지금까지 저는 웹서버와 dns서버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메일 서버를 만들어보려합니다. os는 centos8을 사용했고 sendmail과 dovecot을 이용해서 smtp와 pop 프로토콜을 구현하였습니다. 클라이언트는 thunderbird를 이용했습니다. - 구축 자료 아래는 메일서버 10장의 1교시입니다. 실제 구축을 위해서는 1,2,3교시 모두 봐야합니다. https://youtu.be/geEY61r89OQ - 실제 구축 네트워크 구조 - 실제 구축 dns $TTL 3H @ SOA @ root ( 2 1D 1H 1W 1H ) IN NS @ IN A 182.227.**.** IN MX 10 mail.nova-server.site www IN A 182.227.**.** mail IN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