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10/14 (2)
외로운 Nova의 작업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0jtF/btsynXKxVv1/aMX3K8BYEs023AJSKE18Gk/img.png)
- DynamoDB DynamoDB는 NoSQL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아마존에서 개발한 NoSQL 데이터베이스이며 사용자가 따로 설치 운영 확장 하지않아도 원할때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DynamoDB는 읽기와 쓰기가 매우 빈번하고 처리 속도가 빨라야하는 환경, 작은 용량의 데이터가 매우 많을때 고 가용성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기에는 부담될 때 적합합니다. 따라서 모바일 게임과 소셜 네트워크같은 서비스에 유용합니다. 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니기때문에 트랜젝션, 조인과 같은 복잡한 쿼리가 필요한 환경에는 적합하지않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의 스키마를 정해놓고 데이터를 추가해야하지만 Nosql 데이터베이스는 스키마가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연합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dJoX/btsyqx5RuLL/ngKiGn8qLwZMgukGfIoQO0/img.png)
- RDS 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er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생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원래 온프레미스에서는 고성능 대규모 DB를 운영하려면 DB 운영 인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전문적인 DB 인력을 따로 두기 어렵습니다. 또한, 고성능의 서버가 여러대 필요하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를 준비할때는 세계 곳곳에 DB서버를 구축하고 장애에 대비해 이중화를 구성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이러할때 RDS를 이용하면 클릭 몇번 만으로도 쉽게 DB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량이 늘어나면 스토리지 용량과 IOPS를 증가시켜 성능확장이 가능합니다. 또한 장애가 발생해도 Failover 기능을 통해 정상적인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