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21)
외로운 Nova의 작업실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crackme5.exe 파일을 리버싱해보고 크랙판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는 아래 올려놓겠습니다. - 문제 인식 먼저 파일을 실행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것도 4번 문제와 같이 시리얼을 넣으라고 하는 군요, 하지만 이번 문제는 check 버튼이 활성화가 되어있습니다. 한번 1234를 넣어서 check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시리얼 번호가 다르다고 나오는 군요, 이번 문제는 시리얼 번호를 알아내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 리버싱 ollydbg를 이용해 리버싱을 해주겠습니다. 그리고 함수가 있는지 확인하기위해 PUSH EBP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했지만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무슨 언어로 쓰여졌을까요? DIE로 분석해보겠습니다. 분석 결과 delphi로 쓰여..
- 네트워크 위협의 유형 수동적 공격 : 통신회선상의 정보를 무단으로 취득하는 행위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기밀성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능동적 공격 : 통신회선상의 정보를 변조,위조 하는 행위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기반 보안위협 및 대응책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은 공격자가 단일 컴퓨터를 통해 목표 시슽템에 과도한 부하를 일으켜 정보 시스템의 사용을 방해하는 공격방식으로 D-DOS는 다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대비됩니다. 취약점 : 3-way handshaking 과정에서 공격자가 다수의 syn 신호를 공격대상자에게 전송하면 공격대상자는 syn/ack 신호를 공격자에게 전달하게되는데 이때 공격자가 ack 신호를 ..
- 파이썬 requests 모듈 기초 pip install requests import requests GET 방식: requests.get() POST 방식: requests.post() PUT 방식: requests.put() DELETE 방식: requests.delete() 응답상태는 객체의 status_code 속성으로 간단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 response = requests.get("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1") >>> response.status_code 200 >>> response = requests.get("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users/100") >>>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