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21)
외로운 Nova의 작업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cBBa/btrS9Q4Tv2q/O2oWMEgDkOgFf3ohTRkOG0/img.png)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crackme3.exe 파일을 크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파일을 올려두겠습니다. - 문제 인식 한번 실행시켜보겠습니다. 뭔가 keyfile을 체크해본다고 합니다. 확인을 눌러보겠습니다. 파일을 찾을 수 없다고 뜹니다. 이번 문제는 파일 인증에 관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일단 먼저 파일을 어떻게 인증하는지 리버싱을 통해 알아보고 분기문을 우회하여 크랙판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리버싱 먼저 step over로 call 함수를 기준으로 코드의 흐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0040100E call 함수 : user32.messageboxA 함수로 첫번째 메시지 박스를 출력해냅니다. 004010EA call 함수 : kernel32.createfileA 함수로 파일의 유무를 파악합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4mwZ/btrS5AnRkp1/CYYSbwplTzZUmmkx3MEQFK/img.jpg)
-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란 네트워크 사업자와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였을때 적절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등의 행위입니다. 계정 관리 : 소비되는 자원에 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가 자원을 얼마나 사용했는지 파악하여 요금을 청구합니다. 구성 관리 : 네트워크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와 상태를 관리합니다. 성능 관리 : 장기간에 걸쳐 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장애 관리 :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네트워크의 요소를 찾아내어 문제점을 해결합니다. 보안 관리: 패스워드나 암호화된 데이터 링크를 유지보수하고 보안행위를 기록합니다. 제한적인 접속 권한, 보안 로그, 암호화 장치등을 관리하고 암호화키를 생성, 분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2Y0S/btrS5ifDXeW/7gi8DBUIQCR9MVk2tt1yo1/img.p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abex crackme2.exe 파일을 리버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파일 남겨놓겠습니다. - 문제 인식 먼저 실행시켜봅시다. Name과 Serial form이 있고 옆에 check, about, quit 버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뭐 Name에는 a를 serial에는 1234를 넣어보겠습니다. 이름에다가는 4개의 문자를 넣으라고 알림창이 뜹니다. 꼭 4개 이상을 넣어야하는 이유가 있는걸까요..ㅎㅎ 일단 name을 nova로 비밀번호는 1234로 넣어보겠습니다. serial이 틀리다고 나오네요. 이번 문제는 serial을 찾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ollydbg로 리버싱해보겠습니다. 일단 ollydbg로 crackme2.exe 를 올려주겠습니다..